본 과정은 약 30분씩 4개의 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, 벤처캐피탈의 투자분야 중 ICT 분야에 대해 학습해보는 과정입니다.
ICT 투자 트렌드에 대해 2010년대부터 2020년 이후 비대면 경제 사회 의 진입까지 시간순으로 살펴보며 시대별 이슈들이 투자 트렌드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발전해 왔는지를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. 또한, 투자사례를 통해 각각의 투자포인트, 리스크 요인 등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.
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예시등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핵심만 엄선하여 구성한 과정으로 바쁜 업무 중에도 부담없이 수강 가능합니다.
본 과정은 교재가 제공되지 않습니다.
1차시 | ICT 투자 트렌드 I ■ 2010년대
■ IT 산업과 ICT 산업을 구분하고 ICT 투자 선호도 변화를 말할 수 있다.
■ O2O 서비스의 정의와 다양한 분야의 O2O 플랫폼의 투자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■ O2O 플랫폼의 공통적인 특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.
2차시 | ICT 투자 트렌드 II ■ 2020년 이후, 현재
■ COVID-19 이후의 비대면 경제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■ 비대면 경제에서의 ICT 투자 핵심 키워드를 말할 수 있다.
■ 2020년 이후 유망투자 센터 8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.
3차시 | 벤처캐피탈의 ICT 투자 사례
■ ICT 서비스 분야 주요 플랫폼 기업들의 일반현황, 투자 포인트, 리스크 요인 및 누적 투자실적을 말할 수 있다.
■ 벤처캐피탈들의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투자 사례와 투자관점을 알 수 있다.
4차시 | 벤처캐피탈의 ICT 투자에 대한 생각
■ ICT 업종의 재도전 창업자들에 대한 투자 관점을 알 수 있다.
■ 적자 ICT 스타트업의 기업가치 평가 방법론에 대한 논쟁을 정리할 수 있다.
■ ICT 업종 유니콘기업들이 벤처투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을 알 수 있다.
일반
■ 벤처캐피탈, 벤처투자에 관심 있는 일반인
■ 벤처캐피탈로 취업을 희망하는 대학(원)생
기업(기관)
■ 벤처캐피탈 산업 및 벤처투자에 대한 이해도 제고가 필요한 기업(기관)
■ 신사업 기획 및 오픈이노베이션 담당자
(예비)창업가
■ Value up이 필요한 창업가
■ 창업을 준비 중인 예비 창업가
투자 업계
■ 벤처캐피탈 / 엑셀러레이터 / CVC / LP등
평가항목 | 학습진도율 | 설문참여여부 |
---|---|---|
이수기준 | 80% | 필수 아님 |
차시 | 교육내용 |
---|---|
1 | ICT 투자 트렌드 I - 2010년대 |
2 | ICT 투자 트렌드 II - 2020년 이후, 현재 |
3 | 벤처캐피탈의 ICT 투자 사례 |
4 | 벤처캐피탈의 ICT 투자에 대한 생각 |
본 과정은 창업투자회사(VC) 전문인력 자격 취득과 무관합니다.